본문 바로가기
Linux

NAT란 무엇인가

by 仙道 2022. 8. 29.
반응형

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
 

네트워크 계층(L3)의 주소 즉, IP를 변환시켜주는 기술

 

  1. 탄생배경
  • 보안설정을 하기위해
  • 사설 IP 공인 IP 변경해서 보내려고 (이렇게하면 사설 IP 인터넷에 접속 가능)

 -> 공유기에 들어가있는 기술

  • IPv4 부족현상을 줄여줄 있음
  • 라우팅이 되지 않는 IP 라우팅 시킬 있음

 

  1. Cisco NAT 기술

 

  • Static NAT

(config)#ip nat inside source static [inside local의 IP주소] [inside local global IP주소]

-- Inside Local (거의 대부분 사설 IP 대역이 있는 인터페이스)

(config-if)#ip nat inside

 

-- Inside Global (거의 대부분 공인 IP가 설정된 인터페이스)

(config-if)#ip nat outide

 

 

  • Dynamic NAT (외부와 한번에 통신 가능한 수가 같다)

(config)#ip nat pool [pool 이름] [pool 시작 IP주소] [pool IP 주소] netmask [서브넷마스크주소]

 

 

  • 외부 IP주소 범위지정

(config)#access-list [ACL번호] permit [내부IP 네트워크주소] [와일드카드마스크]

 

 

  • NAT 기술 적용

(config)#ip nat inside source list [ACL 번호] pool [pool 이름]

 

 

  • 인터페이스에 적용

-- Inside Local (거의 대부분 사설 IP 대역이 있는 인터페이스)

(config-if)#ip nat inside

 

-- Inside Global (거의 대부분 공인 IP가 설정된 인터페이스)

(config-if)#ip nat outide

 

 

 

  • PAT (NAT Overload)

(config)#ip nat pool [pool이름] [ip주소] [ip주소] netmask [서브넷마스크]

 

 

 

  • inside local 네트워크 지정

(config)#access-list 1 permit [네트워크주소] [와일드마스크]

 

 

 

 

  • NAT 적용

(config)#ip nat inside source list 1 pool [pool이름] overload

  • 그런데 pool 어차피 ip 주소 1개를 지정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굳이 pool 지정을 해서 명령어를 이유가 없으면 인터페이스에 지정된 ip주소로 통신을 하면

 

 

(config)#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erface [global interface] overload

 

-- Inside Local (거의 대부분 사설 IP 대역이 있는 인터페이스)

(config-if)#ip nat inside

 

-- Inside Global (거의 대부분 공인 IP가 설정된 인터페이스)

(config-if)#ip nat outide

반응형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운영체제란 무엇인가 / 리눅스 OS별 특징  (0) 2022.08.29
RPM의 원리와 기본 개념  (0) 2022.08.29
DELL Server(Dell Precision 7920) iDRAC 설정  (0) 2022.08.04
PXE / KickStart  (0) 2022.08.03
GCC Installation  (0) 2022.08.02

댓글